반응형

전체 글 373

[CPU] 인텔 i7 3770 vs i3 9100f 게이밍 성능 비교!

[CPU] 인텔 i7 3770 vs i3 9100f 게이밍 성능 비교! 이번 글에서는 제온 CPU가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준 인텔 3세대의 i7 3770과 i3가 4코어 4쓰레드의 마지막 세대인 i3-9100F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i3 9100와 i3 9100F차이는 단지 내장 그래픽의 유무이기 때문에 둘이 동일 CPU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UserBenchmark 결과를 보시면 i3-9100F가 9퍼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6세대가 차이가 그만큼 싱글 코어 당 성능(IPC)이 많이 차이 나서 i3 9100F가 이겨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그렇다면 실제 게임 성능에서도 저만큼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일까요?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면서 둘의 게임 성능 차이는 얼마나 나는지 확인해 보..

장비/CPU 2021.01.04

[CPU] 인텔 i5 2500으로 게임들을 잘 돌릴 수 있을까?

[CPU] 인텔 i5 2500으로 게임들을 잘 돌릴 수 있을까? 인텔이 i3, i5, i7으로 출시한 후 인텔 2세대 샌디브릿지를 출시하였습니다. 2011년에 출시한 이후로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커뮤니티에서 이른바 명기라며 아직까지 쓸만한 CPU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i5-2500의 스펙은 4코어 4쓰레드이며, 최대 클럭은 3.7Ghz, L3 캐시는 : 6MB입니다. i5 6500의 스펙이 4코어 4쓰레드 인것을 감안한다면 겉보기에는 크게 밀리지 않는 것 같네요. 그렇다면 실제 게임에서 돌렸을 때, 게임을 원활하게 돌릴 수 있을까요? 리그 오브 레전드 i5 2500 + GTX680 i5 2500과 GTX680으로 매우 높은 옵션에서 진행했을 때의 프레임을 살펴보면 100 초반대를 보여주면서 FHD 6..

장비/CPU 2021.01.03

[CPU] 인텔 i3 6100 vs 팬티엄 g4560 게임 성능 차이는?

[CPU] 인텔 i3 6100 vs 팬티엄 g4560 게임 성능 차이는? 인텔 6세대까지 인텔은 아래와 같은 CPU 라인업을 지켜왔습니다. 셀러론 및 팬티엄 -> 2코어 2쓰레드 i3 -> 2코어 4쓰레드 i5 -> 4코어 4쓰레드 i7 -> 4코어 8쓰레드 그런데, 인텔 카비레이크 7세대에 팬티엄의 스펙이 2코어 2쓰레드가 아닌 2코어 4쓰레드로 출시되어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에 따라서 g4560이 전 세대 i3-6100을 죽이는 것이 아니냐 등 많은 말들이 오고 갔습니다. 위 스펙을 보시면 Core 수는 2코어로 동일하고 하이퍼 쓰레딩이 적용되어 4쓰레드임을 알 수 있으며 차이점은 i3 6100의 클럭 수가 0.2 Ghz 높다는 것과 내장 그래픽 성능이 더 좋은 것, AVX 같은 추가적인..

장비/CPU 2021.01.03

[CPU] 인텔 i7 6700 vs 인텔 i5 6500 게이밍 성능 비교!

[CPU] 인텔 i7 6700 vs 인텔 i5 6500 게이밍 성능 비교! 인텔의 데스크톱 4세대에서 6세대로 넘어갈 때, 소비자용 DDR4 램이 적용되었고 IPC가 10퍼 이상 향상되는 등 다방면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시기였습니다. 비록 지금 인텔은 i7은 8코어 16쓰레드, i5는 6코어 12쓰레드이니 약 5년이 지난 지금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긴 하네요. 인텔 i7 6700과 i5 6500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텔 i7 6700 : 4코어 8쓰레드, 최대 클럭 4.0GHz, L3 캐시 : 8MB 인텔 i5 6500 : 4코어 4쓰레드, 최대 클럭 3.6GHz, L3 캐시 : 6MB 인텔 i7 6700은 6500에 비해 4쓰레드를 더 가지고 있고, 최대 클럭이 0.4Ghz, L3 캐시가 2MB..

장비/CPU 2021.01.03

[VGA] RTX 2060 vs GTX 1070 Ti 게임 성능 비교!

[VGA] RTX 2060 vs GTX 1070 Ti 게임 성능 비교! 파스칼 그래픽카드들 중 제일 마지막에 출시된 GTX 1070 Ti와 튜링 세대의 그래픽카드들 중 제일 막내 라인업인 RTX 2060과의 게임 성능을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한 세대 급의 60과 70 라인업, 그리고 RT 유무의 차이에 따른 성능이 얼마나 나는지 궁금하네요. Userbenchmark에서 나온 결과를 보면 게임 성능 차이는 1% 밖에 나지 않는 거의 동급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배틀필드에서는 GTX 1070 Ti가 16% 더 앞서고, 포트 나이트에서는 RTX 2060이 9 퍼 더 앞서는 등 게임마다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 같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네요. 다른 게임에서도 마찬가지로 같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을까요? 아래의 ..

[VGA] RTX 2060 vs GTX 1660 Ti 게이밍 성능 비교!

[VGA] RTX 2060 vs GTX 1660 Ti 게이밍 성능 비교! 튜링 그래픽카드 시대에 Ray Tracing이라는 기술이 들어가게 되어 같은 그래픽카드 세대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술의 유무에 차이로 인해 같은 60라인이지만 라인업이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Ray Tracing이란 광원(빛)에서 비추는 그림자들을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여서 더 사실적인 게임 그래픽을 보여주는 기술로서, RT 코어라는 그래픽 계산 유닛이 따로 그래픽카드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RT 코어 유무로 나누어지면서 같은 60라인업에 있는 GTX 1660 Ti와 RTX 2060의 성능은 얼마나 차이가 나는 것일까요? Userbenchmark 사이트에서 비교한 결과 RTX 2060이 GTX 1660 Ti에 비해 14퍼 정도 ..

AMD 플루이드 모션, 라이젠 3400G의 내장 그래픽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AMD 플루이드 모션, 라이젠 3400G의 내장 그래픽으로 활성화하는 방법! 플루이드 모션이란 24p, 30p로 되어있는 영상을 60p로 늘려주는 기술입니다. 해당 기술을 24, 30프레임에 적용시키면 60 프레임으로 증가시켜 더 부드러운 화면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애니나 므흣한(?) 영상, 스포츠 같은 동작이 격렬한 영상에서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플루이드 모션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 10에서만 가능(윈도우 7에서는 작동하지 않음) 2. AMD HD 7000번대 / R7 / R9 / RX 시리즈 그래픽카드, 라이젠 APU(3400G 등) 3. Geforce(Nvidia) 그래픽 카드는 지원하지 않으며 Intel i GPU 지원 가능 참고로..

장비/Tip 2021.01.02

[VGA] GTX760 성능, 배틀그라운드까지 돌릴 수 있을까?

[VGA] GTX760 성능, 배틀그라운드까지 돌릴 수 있을까? 2013년 6월 25일에 출시하였으며, 요구 사항 전력은 170W로 바로 아래 단계인 GTX750 Ti의 요구 사항 전력이 60W인 것을 감안하다면 그만큼 성능을 대폭 올렸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hwbattle 파이어 스트라이크 결과를 보시면 GTX750 TI 대비 50퍼 정도 증가한 성능을 알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전력이 2배 이상 차이 나는 것에 비하면 큰 성능 증가는 아닌 것 같네요. 그만큼 GTX750 Ti의 전성비는 대단한 것 같습니다. GTX750 Ti정도로는 오버워치 하옵으로는 가능했지만 배틀그라운드 하옵으로는 진행이 안 되었었는데요, 그렇다면 GTX760은 돌릴 수 있을까요? 리그 오브 레전드 i5 4690 + GT..

[VGA] 케플러의 막내 라인업인 GT730, 게임은 돌릴 수 있을까?

[VGA] 케플러의 막내 라인업인 GT730, 게임은 돌릴 수 있을까? GT730은 2014년에 출시한 그래픽카드로 6년 전에 출시한 케플러의 라인업 중 제일 하위 라인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GT730은 사무용 컴퓨터로써 많이 달려있는데요, 그렇다면 이 그래픽카드가 롤 같은 저사양 게임에서 원활하게 돌릴 수 있을까요? hwbattle 사이트에서 GTS450과 GT730의 파이어 스트라이크 성능을 비교하면 거의 동급의 성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GTS 450의 소모 전력은 106W 정도인데 GT 730은 25W로 거의 4분의 1 수준으로 성능을 내주네요. GTS450에 대한 성능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참조해 주세요! [VGA] 2010년에 출시한 GTS 450, 롤 같은 게임에..

[VGA] GTX1050의 게이밍 성능은 어느 정도 일까?

[VGA] GTX1050의 게이밍 성능은 어느 정도 일까? 파스칼 라인업 GTX1000번대가 출시되자마자 전성비가 대폭 상승되어 모든 라인업이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60 라인과 50 라인업이 가장 큰 인기를 얻게 되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50 라인업인 GTX 1050의 성능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GTX1050의 MSRP는 109$로, 15만원도 안 되는 가격을 보여주면서 당시 고사양 게임이었던 오버워치도 무난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는 소식에 라이트한 게이머들에게는 기쁜 소식이 아닐 수가 없었는데요, 심지어 낮은 전력인 75w로, 보조 전력이 필요가 없어서 어느 본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였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 각 게임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