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심장, 알맞은 파워서플라이 고르는 방법 및 제품 추천!
여러분들은 사람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가 어디라고 생각하시나요? 뇌, 손, 팔 등 다양한 중요한 부위가 있지만 보통 뇌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부위를 심장이라고 합니다.
컴퓨터 파워는 각 기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사람의 심장 역할을 하는 기기로써, 좋은 파워를 고르는 것이 컴퓨터의 수명과 관련이 있다고 해도 무방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파워를 사야 좋은 파워를 샀다고 할 수 있을까요? 돈이 많다면 한방에 비싼 걸 사시면 되지만 최대한 가성비 쪽으로 고르려고 합니다.
1. 뻥파워는 X, 무조건 정격 400w 이상인지 확인
정격 400w란 해당 파워가 꾸준히 400w를 꾸준할 수 있는 능력치를 가진 파워를 말합니다.
파워에는 각자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전력량이 있습니다. 파워에 보시면 이름 명에 500이나 600 같은 숫자 표기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500이라 적혀있어 정격 500w로 믿고 쓰시는 분들이 많았었습니다.
그래서 파워에 대해 지식이 많이 없던 시절에는 파워가 버티지 못하고 고장 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문제는, 파워가 죽으면 파워 혼자만 죽으면 다행인데 파워에 붙어 있는 그래픽카드, SSD or HDD 같은 연결되어 있는 기기와 함께 죽는다는 것이었습니다. 파워 값을 아끼기 위해서 2만원을 아끼려다가 20만원을 날릴 수도 있었다는 것이죠.
그러면 왜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표기는 500w로 되어 있지만 실상은 정격 300w도 안 되는 파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제조사에서 표기한 저 숫자는 이른바 순간 최대치로 낼 수 있는 전력량이었죠.
저란 파워들을 이른바, 뻥파워라고 하는데요 특히 천궁이라는 모델에서 파워가 자주 죽는 증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뻥 파워 이슈가 핫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해당 파워가 뻥파워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나와에 해당 모델을 쳤을 때 정격 500w로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셔야 됩니다.
만약 다나와에서 검색을 했는데도 상세히 정보가 나와있지 않고 옛날 모델이면 뻥 파워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 파워는 쓰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 컴퓨터에 파워 용량 고르는 법
그렇다면 내 시스템에 맞는 파워 용량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다나와에서 해당 그래픽카드의 정격 용량 용량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컴퓨터 부품에서 일반적으로 전력을 제일 많이 차지하는 기기가 그래픽카드이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에서 추천하는 파워 용량에 맞추어서 구입하시면 됩니다.
위 사진 예시는 RTX 3060 Ti를 검색했을 때의 다나와 검색 결과입니다. 중간에 정격파워가 보이시나요?
엔비디아에서 공지하는 RTX 3060 Ti의 권장 파워는 정격 550W로 대부분 제품 역시 정격파워 550W로 적혀 있지만 제조사, 해당 모델에 따라서 권장하는 정격파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조사에서는 파워 용량 부족으로 이슈가 벌어진다면 좋을 것이 없어서 CPU, RAM, SSD 같은 주변 기기와 그래픽카드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내기 때문에 다나와에 적혀진 파워 용량대로 맞추신다면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3. 80 PLUS 인증이 된 제품을 구입
파워에는 등급을 매기는 80 Plus 인증 제도가 있습니다. 80 Plus는 파워의 효율과 관련된 인증을 말하는 것인데요, 바깥에서 오는 교류 전압을 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킬 때의 효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80퍼 효율을 내는 파워라면 해당 파워에 100W를 공급받으면 85W만큼만 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해당 인증 제도를 받기 위해서는 파워에 20, 50, 100% 부하를 주었을 때 각각 등급에 맞는 전력 효율 전환 요구 사항이 있기 때문에 통과했다는 의미는 해당 파워가 그 만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의미가 됩니다.
또한, 효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의 좋은 품질을 구성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등급이 높을수록 더욱 안전한 파워가 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해당 인증 문제에 허점이 있기 때문에 알려진 제조사가 아닌 곳에서 80 Plus라고 해서 꼭 정격파워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파워는 유명한 제조사에서 인증된 80 Plus를 구입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4. 제조사 및 용량에 따른 제품 추천
위 등급표가 100퍼 맞다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맞기 때문에 표를 가져와 봤습니다.
국내에 프리미엄 브랜드로 제일 많이 알려진 브랜드는 시소닉이며, 보급형 라인에서는 FSP, 잘만, 마이크로닉스가 파워 시장을 잡고 있습니다.
잘만(500W)
잘만 EchoMax 500가 처음 출시 당시, 가격이 3만원도 안 했는데 괜찮은 품질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을 받은 파워입니다.
그때 당시, 괜찮은 파워 500w가 못해도 4만이 넘었기 때문에 의문이 갔었지만 사용기가 괜찮다는 평이 많아져 후에 큰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비록 80 Plus 인증을 받지는 못했지만 저도 가성비로 사용하고 있는 파워인 만큼 가성비 조합에 사용하신다면 해당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마이크로닉스(600W)
국내 기업으로, 상품 의견이 2020년 12월 20일 기점으로 7,664건인 등 많은 사람들에게 꾸준히 선택받아 왔던 클래식 2 600w 제품입니다.
2019 다나와 파워 부문에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몇 년 전에 마이크로닉스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는 등 무난한 파워라고 할 수 있습니다.
80 PLUS 인증도 받았기 때문에, 효율 역시 어느정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600w에서 무난한 제품을 고르신다면 마이크로닉스 클랙시 2 600w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FSP(700W)
품질이나 명성에서도 유명한 브랜드에 떨어지지 않는 FSP입니다. 해당 모델은 80 PLUS 브론즈 인증을 받았으며 700w의 높은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RTX 3070 같은 제품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시소닉(750w)
국내에서 프리미엄 파워라 하면 시소닉이라고 들 수 있습니다. 여러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고급형 파워를 추천한다면 시소닉이 항상 들어가기 때문에 시소닉이 들어간 파워라면 품질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80 PLUS 골드라는 높은 등급을 가지고 있으며 풀 묘듈러 채택을 통해 조립의 편의성도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다면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게다가 해당 모델은 AS기간이 무려 10년이나 되기 때문에 제조사가 품질에 대해 자신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모델에서 100w 올라간 850w도 있기 때문에 RTX 3080을 고려하신다면 해당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최근에 시소닉과 관련하여 뻥파워 이슈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해당 수입업체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으며 품질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최고의 파워라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마치며
심장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 파워서플라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이 돈을 줄이는 방향이라면 500w 정도 가성비 라인업으로 가시면 되고, RTX 3070 급 이상의 고급형 컴퓨터를 맞추신다고 하시면 파워에 돈을 아끼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보통 파워가 제일 효율이 높은 구간이 50%이기 때문에, 높은 용량의 좋은 품질을 구매하신다면 효율도 제대로 나오며, 파워 때문에 컴퓨터로 골치 아프실 일은 적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파워 선택하는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VGA] RTX 3060 Ti는 가성비일까?? (feat. RTX3070, RTX2080 super)
- 하드] HDD와 SSD 비교 및 차이점
- 이엠텍 RTX 3070 TURBO 터보젯 JET OC D6 8GB 리뷰
- MSI FHD 240hz 옵틱스 MAG251RX 게이밍 모니터 후기
- [VGA] RTX 3080 리뷰 - 황 회장의 야심 찬 그래픽카드
'장비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내 PC에 윈도우 10 설치하는 방법! (0) | 2020.12.21 |
---|---|
CPU-Z로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방법! - CPU, RAM,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0) | 2020.12.21 |
어렵지 않은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하는 방법! (0) | 2020.12.14 |
중고나라 5년 차가 말해주는 중고나라 사기 안 당하는 방법 + Tip (0) | 2020.12.10 |
[하드] HDD vs SSD vs NVME 게임 속도 차이 비교 (0) | 2020.12.05 |